top of page

최악의 의료공백과 쌓이는 제약업계 피해




지난 2월 전공의 집단 파업으로 의료공백이 발생한 지 6개월을 넘어섰다. 설상가상 보건의료노조까지 오는 29일 파업을 예고하고 나섰다. 의료공백이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각자의 이해관계가 맞부딪힌 가운데 의료공백의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되는 양상이다. 응급실을 구하지 못한 환자가 전전하고 있다는 뉴스가 매일같이 전해진다. 한두 곳의 문제가 아니라,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염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일반 국민의 피해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제약바이오업계도 의료대란으로 인한 손실이 누적되는 모습이다.



주요 제약바이오기업들은 지난 상반기 실적 부진을 피하지 못했다. 매출 상위 50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상반기 매출은 15조950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3.2% 증가했다. 예년과 비교해 상반기 매출 증가폭이 더욱 커졌다.



제약바이오업계가 실적방어에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외형 확대에 따른 착시효과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외형은 확대됐지만 수익성은 오히려 악화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 상반기 대부분 제약바이오기업은 부진한 영업실적을 기록했다. 50개 기업의 합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까지 매년 10% 이상 영업이익이 증가했던 점과 대조적이다.



이마저도 매출 상위 기업 몇 곳이 높은 영업이익을 낸 덕분이다. 50개 기업 중 28개 기업은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거나 적자 전환 혹은 적자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사 5곳 중 3곳은 수익성이 악화한 셈이다.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의료대란이 꼽힌다.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면서 남은 의사들에게 업무 부담이 가중됐고,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입원·수술 환자 관련 처방건수가 감소했다.



동시에 제약사의 판촉·영업이 위축됐고, 임상시험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 업체들은 처방 감소를 메우기 위해 새로운 거래처를 확보하는 데 주력했고, 이 과정에서 판관비 지출이 늘었다. 판관비 지출 증가는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졌다.



의료대란에 의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제약바이오업계에선 진짜 위기는 아직 찾아오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엄습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경우 지금까지와는 다른 규모의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수술·입원 환자에 쓰이는 전문약 매출을 다른 의약품 처방으로 메우는 데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역대 최악으로 꼽히는 이번 의료대란이 언제 어떻게 마무리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의료대란이 마무리된다고 하더라도, 국민과 제약업계가 입은 피해는 어디서도 돌려받을 수 없다는 점만은 분명해 보인다. 정부와 의료계의 강대강 대치 속에 국민과 제약업계의 피해는 오늘도 하염없이 누적되고 있을 뿐이다.


기사 출처 _ 데일리팜 김진구 기자 (kjg@dailypharm.com)

Comments


​제약사 최신 정보 및 뉴스레터 받아보기.

Thanks for submitting!

bottom of page